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과 그 비판 및 현대적 의의

by LoveMeSweet 2024. 4. 11.

버제스 동심원 이론



들어가며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은 많은 비판과 한계를 보여주었지만 현대의 도시 공간 구조를 설명할 때 중요한 기틀을 마련해주고 있다. 아래에서 동심원 이론을 살펴보고 그 비판점과 현대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1.동심원 이론

1) 이론의 배경
버제스는 20세기 초 급속한 도시화 시기에 자신의 이론을 공식화했다. 이는 도시의 공간적 구성과 도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했다. 이 이론의 핵심은 도시가 동심원 형태의 중앙 비즈니스 구역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고 각각 고유한 사회 경제적 특성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개념화는 시카고의 도시 구조에 대한 경험적 관찰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원리는 이후 전 세계의 다양한 도시 맥락에 적용되었다.


2) 5개의 동심원 지역


(1) 중심업무지구(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가장 안쪽 구역은 CBD로 도시의 경제 및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지가가 높고, 오피스빌딩, 소매점, 기타 상업 활동이 밀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CBD는 중심적 위치와 접근성으로 인해 주간 통근자가 많아 영업시간 인구밀도는 높으나 주거인구는 상대적으로 낮다.


(2) 전이 지대(Zone in transition)


CBD 주변은 토지이용과 사회경제적 활동이 혼합된 특징을 갖는 전이지대이다.
이 지역은 인구 유입, 이민, 높은 주거 이직률 등 급격한 인구통계학적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곳이다.
또한 이 지역은 점차 주택, 산업 활동, 창고 및 사회 혼란 악화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CBD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토지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주거용 주택의 질은 낮고 가격도 저렴하다.


(3) 노동자 주택 구역(zone of low income housing)


전이지대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노동계급 주거지대이다.
이 구역은 노동자 계층 가족이 주로 거주하는 오래되고 소박한 주택으로 구성된다.
비교적 안정적인 주거인구와 공동체 의식이 특징이다.
산업 활동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이지역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


(4) 중산층 주택 구역(zone of middle income housing)


서민주택지대 너머에는 중산층 주거지대라고도 불리는 더 나은 주거지대가 있다.
이 구역에는 더 나은 편의 시설과 인프라를 갖춘 더 새롭고 더 넓은 주택이 있다.
향상된 생활 환경과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중산층 가족이 거주하고 있다.
도심 지역에 비해 범죄율이 낮고 사회적 결속력이 높아 환경이 일반적으로 더 안정적이다.


(5) 통근 구역(commuter’s zone)


버제스 모델의 가장 바깥쪽 구역은 통근 구역으로 교외 개발과 농촌 지역으로 구성된다.
본 구역은 인구밀도가 낮고, 단독주택이 많고, 녹지공간이 많고, 자동차에 의존하는 생활방식이 특징이다.
도심의 혼잡과 오염에서 벗어나 보다 조용하고 넓은 생활환경을 원하는 중상류층 가족이 거주하고 있다.
통근권 내 주거지역은 고속도로, 통근철도 등 교통망을 통해 CBD 및 기타 취업센터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2.동심원 이론에 대한 비판


1) 사회경제적 동질성
주요 비판 중 하나는 버제스의 모델이 각 동심원 내에서 사회경제적 동질성을 가정함으로써 도시 지역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도시는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다양성의 복합체이며, 구역 간의 경계는 명확하게 정의되기보다는 모호해지는 경우가 많다.


2) 정적 성격
버제스의 모델은 도시 공간 구조를 젠트리피케이션, 교외화, 도시 재개발과 같은 역동적인 도시 과정에도 불구하고 동심원 구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정적이고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으로 묘사한다.

비평가들은 이것이 도시 개발의 역동적인 성격과 도시 지역의 지속적인 진화를 포착하지 못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3) 서구중심주의
버제스의 모델은 20세기 초 미국 도시, 특히 시카고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비평가들은 서구 중심적 관점과 문화적, 지리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 특히 비서구적 맥락에서 도시에 대한 적용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


4) 문화적 요인의 무시
동심원 모델은 도시 공간 구조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인종, 종교, 언어와 같은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무시하면서 주로 사회경제적 요인과 토지 이용 패턴에 초점을 맞춘다는 비판이 있다.


5) 이웃 변화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버제스의 모델은 오래된 도심 지역이 점차 도시 주변의 새로운 개발로 대체되는 도시 천이 과정을 설명하지만, 지역 변화를 주도하는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제한된 통찰력을 제공한다. 비평가들은 정부 정책, 경제 동향, 사회 운동과 같은 요소가 도시 변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버제스의 모델은 이를 적절하게 다루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6) 환경 요인에 대한 고려 부족
버제스의 모델은 지형, 기후, 천연자원과 같은 환경 요인이 도시 공간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간과하고 있다. 이러한 누락은 지리적 특징이 뚜렷하거나 환경 문제에 직면한 도시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이러한 요인은 토지 이용 패턴과 도시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동심원 이론의 현대적 의의


1) 역사적 맥락
버제스의 모델은 20세기 초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 시대에 등장했다. 이는 산업 확장과 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가 변혁을 겪으면서 도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공간 패턴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제공했다.


2) 간단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표현
동심 구역 모델은 도시를 중앙 비즈니스 구역(CBD)에서 바깥쪽으로 방사되는 동심원으로 개념화하여 도시 공간 조직에 대한 간단한 묘사를 제안했다. 이는 도시 경관을 특정 토지 이용과 사회경제적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별개의 구역으로 나누었다.


3) 후속 이론의 기초
이 모델은 수년에 걸쳐 비판을 받고 개선되었지만 도시 사회학과 지리학의 수많은 후속 이론과 모델의 토대를 마련했다. 도시가 사회 경제적 요인에 따라 공간적 차별화를 보인다는 기본 전제는 현대 도시 연구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도시 성장과 쇠퇴의 이해
버제스의 모델은 도시 성장과 쇠퇴의 역동성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시가 어떻게 외부로 확장되는지를 보여 주며, CBD 근처의 오래된 지역은 계승과 쇠퇴를 겪는 반면, 주변에는 새롭고 풍요로운 주거 지역이 개발되고 있다.


5) 정책적 의미
동심원 모델은 도시 환경에 내재된 공간적 불평등과 사회적 분리를 강조함으로써 도시 계획 및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주택 가격, 서비스 접근성, 경제적 기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평한 개발 전략과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6) 현대적 맥락에 대한 적응
원래 20세기 초 미국 도시의 공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공식화되었지만 버제스의 모델은 전 세계의 도시 맥락에 적응되고 적용되었다. 학자들은 도시 형태, 문화적 요인, 경제적 조건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모델을 수정하여 모델의 다양성과 지속적인 관련성을 입증했다.



4.결론

5개의 동심원 구역을 설명하는 버제스의 동심원 모델은 20세기 초 미국 도시, 특히 시카고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도시 공간 조직 및 성장 패턴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현대 도시는 도시 계획 정책, 교통 발전, 인구통계학적 변화 및 세계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이상화된 모델에서 변형 및 이탈을 나타낼 수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925년 개발된 이 이론은 도시가 어떻게 조직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시 지역이 어떻게 진화하는지에 대한 이해에 혁명을 일으켰다. 이 이론은 현대 도시 공간 구조 이론에서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수정되어 도시의 중심지, 거주지 등이 어떻게 성장하여 나가는지 도시의 내부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주고 있는 중요한 이론이 되어 주고 있다.